본문 바로가기
건강

잠복결핵검사의 모든 것(2) : 약복용, 부작용 등

by 청사과씨 2025. 4. 9.

 

결핵 양성판정을 받았다면, 나는 약을 먹어야 할까에 대한 부분에 대해서는 고민이 되지 않을 수 없을 것입니다.

그러나 모든 잠복결핵 판정자가 약을 먹어야 하는 건 아닙니다. 

 

🌱 결핵 자연회복 후, 치료가 꼭 필요하지 않은 경우

다음 조건을 충족한다면 약을 꼭 먹지 않아도 될 수도 있어요:

  • 과거에 결핵 치료를 정상적으로 마쳤고,
    그 이후 **재발 없이 오랫동안 건강하게 지냄
  • 현재 건강하고 면역력이 좋은 성인
  • 잠복결핵 이외에 활동성 징후가 전혀 없음
  • X-ray 및 병력에서 의심 소견이 없음
  • 고위험군(면역억제제 사용 예정, 소아, 노인, 당뇨 등)이 아님

의료직군, 교육자 등 고위험군 직군은 권장되지만 이또한 개인의 판단에 맡기고 있으며 역시 의무가 아닙니다. 

 

  -핵심 포인트

  • 잠복결핵은 치료하지 않아도 평생 건강할 수 있습니다.
  • 하지만 10% 정도는 평생 안에 활동성 결핵으로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,
    고위험군은 선제적으로 치료를 권장하는 것.
  • 결국 치료 여부는 의사의 판단 + 개인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결정합니다.

 

🌱그렇다면 잠복결핵이 진짜 결핵으로 전환될 확률은 어느정도일까?

  • 평생 평균 전환 확률:5~10%
  • 그 중 절반 이상은 감염 후 2년 내 발생
  •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전환 확률은 더 낮아짐

📌 즉, 이미 오랜 기간 건강하게 지내셨다면, 남은 위험도는 아주 낮은 편.

 

 

🌱 그래도 약복용을 한다면?

예방 치료에 쓰는 약은 보통 2가지 방식입니다.

  1. 이소니아지드(INH) 6~9개월
  • 가장 많이 쓰는 약 (예방치료에도 흔히 사용됨)

부작용 목록:

부작용설명
간기능 이상 ALT, AST 수치 상승 → 피로, 식욕감소, 구역질
말초신경염 손발 저림, 화끈거림 (비타민 B6 함께 복용으로 예방 가능)
위장장애 속쓰림, 메스꺼움
발진 드물게 피부 발진이나 가려움

 

2. 리팜핀(RFP) 단독으로 4개월 or 리팜핀+이소니아지드 병용 3개월

  • ✅ 단독 예방요법이나 병용치료에 사용

부작용 목록:

부작용설명
간 독성 INH와 같이 쓸 경우 간 부담 증가
소변·땀·눈물 주황색 무해하지만 놀랄 수 있음
위장장애 복통, 메스꺼움, 설사
약물 상호작용 피임약, 항응고제, 항우울제 등 약효 떨어뜨릴 수 있음

 

⚠️ 주의해야 할 주요 신호

약 복용 중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에 연락해야 해요:

  • 심한 피로감, 식욕부진, 구토, 황달
  • 손발 저림이 계속되거나 심해짐
  • 시야가 흐릿하거나 색감이 다르게 느껴짐
  • 전신 가려움, 발진

 

💡 부작용 줄이는 팁

  • 식후 복용으로 위장 부담 줄이기
  • 비타민 B6 같이 복용 (이소니아지드 시)
  • 간 기능 검사 정기적으로 확인
  • 약 복용 전 체중, 간 수치 등 기초 상태 체크 필수